삼복(三伏)의 뜻과 유래, 그리고 복날은 언제?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 ‘삼복더위’라는 표현을 자주 씁니다. ‘삼복’이란 초복, 중복, 말복을 일컫습니다.
매년 7월에서 8월 사이에 있는 복날의 뜻과 유래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삼복(三伏)의 뜻과 유래
복날에서 복(伏)은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있는 형상의 한자입니다. 찜솥더위에 사람이 굴복한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오행에서 여름은 불(火)에 속하고, 가을은 쇠 금(金)에 속하는데, “여름 불기운에 가을 쇠 기운이 세 번 굴복한다”고 해 삼복(三伏)이 되었다고 합니다.삼복더위를 이기기 위한 풍습은 조선시대부터 이어져왔는데요. 조선시대 우리나라 연중행사와 풍속을 정리해 놓은 책 ‘동국세시기’에서도 삼복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을 찾을 수 있습니다.
복날은 언제?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는 세 번의 절기. 첫 번째 복날을 초복이라 하고, 두 번째 복날을 중복, 세 번째 복날을 말복이라 한다.
삼복은 절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초복은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 중복은 네 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로부터 첫 번째 경일입니다.
복날은 열흘 간격으로 초복에서 말복까지 20일이 걸리지만, 해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이 되기도 하며 이는 월복(越伏)이라고 합니다.
삼복 기간은 여름철 중에서도 가장 더운 때 입니다.
초복은 대략 7월 11일부터 19일 사이로, 소서와 대서 중간이며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중국의 사기(史記)를 보면 진의 덕공(德公) 2년에 비로소 삼복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진·한나라 이후 삼복을 숭상하여 한때 조정에서 신하들에게 고기를 나누어 주었으며, 민간에서도 더운 여름에 식욕이 떨어지는 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육류나 영양가 높은 음식들 먹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삼계탕, 장어 등의 보양식 소비량이 많은 기간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