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평생
요 앞, 시궁창에서 오전에 부화한 하루살이는,
점심 때 사춘기를 지나고, 오후에 짝을 만나,
저녁에 결혼했으며, 자정에 새끼를 쳤고,
새벽이 오자 천천히 해진 날개를 접으며 외쳤다.
춤추며 왔다가 춤추며 가노라.
미루나무 밑에서 날개를 얻어 칠일을 산 늙은
매미가 말했다. 득음도 있었고 지음이 있었다.
꼬박 이레 동안 노래를 불렀으나 한 번도 나뭇잎
들이 박수를 아낀 적은 없었다.
칠십을 산 노인이 중얼거렸다.
춤출 일 있으면 내일로 미뤄두고,
노래할 일 있으면 모레로 미뤄두고,
모든 좋은 일이 좋은 날 오면 하마고
미뤘더니 가뿐 숨만 남았구나.
그 즈음 어느 바닷가에선 천 년을 산
거북이가 느릿느릿 천 년째 걸어가고 있었다.
모두 한평생이다.
—————————-
☞재미있고 해학적이지만
시사하는 바가 큰 詩다.
하루를 살았건 천 년을 살았건 한평생이다.
하루살이는 시궁창에서 태어나 하루를
살았지만 제 몫을 다하고 갔다.
춤추며 왔다가 춤추며 간다고 외쳤다니
그 삶은 즐겁고 행복한 삶이었을 것이다.
매미는 7년을 넘게 땅 속에서 굼벵이로
인고의 시간을 보내고 7일을 살고 가지만
득음도 있었고 지음도 있었다니 얼마나
대단한 일인가.
인간은 음을 알고 이해하는데 10년은 걸리고
소리를 얻어 자유자재로 노래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르자면 한평생도 부족하다는데 매미는 짧은
生에서 다 이루었다니 정말 대단하지 않은가.
사람은 기쁘거나 즐거운 일이 있어도
즐기지 못하고 모두 다음으로 미룬다.
모든 좋은 일은 좋은 날 오면 하마고
미뤘더니 가뿐 숨만 남았다니 이 얼마나
허망하고 황당한 일인가.
무엇이 그리 바쁜지 맹목적으로 허둥대며
살다가 후회만 남기고 가는 게 인생인가보다.
천 년을 산 거북이는 모든 걸 달관한 듯 세상에
바쁜 일이 없어 보인다.
느릿느릿 걸어도 제 갈 길 다 가고 제 할 일
다 하며 건강까지 지키니 천 년을 사나 보다.
그러니까 하루를 살던 천 년을 살던 허긴
모두가 일평생이다.
이 詩에서 보면 하루살이는 하루살이대로
매미는 매미대로 거북이는 거북이답게
모두가 후회 없는 삶인데 유독 인간만이
후회를 남기는 것 같다.
사람이 죽은 뒤 무덤에 가보면 껄 껄 껄 하는
소리가 난다는 우스갯 소리가 있다.
웃는 소리가 아니라 좀 더 사랑할 껄,
좀 더 즐길 껄, 좀 더 베풀며 살 껄,
이렇게 껄껄껄 하면서 후회를 한다니
이 얼마나 어리석고 미련한 일인가.
일면 재미있어 보이는 이 詩가
사람들에게 많은 교훈과 깨달음을
주고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