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청어처럼 살 수 있을까?

나이 80·90·100세 되어도
청년처럼 사는 어르신 ‘청어’
나도 모르게 존경심 우러나
긍정적 열정과 미래 호기심
‘청어 DNA’를 심고 가꿔야
내 마음속 청어떼가 뛰논다

건강 백세라는 말이 실감 나는 세상이다. 철학자 김형석 교수님은 올해 103세이신데 열심히 강의하고 신문 칼럼을 쓰신다. 몇달 전 강사로 모셨는데 강의 내용이 좋아서 큰 박수를 받았다. 강의가 끝나고 서울역으로 가신다기에 이유를 물어봤다.

“내일 아침 포항에서 조찬 강의가 있어 KTX를 타러 가야 합니다.”

100세가 넘으신 분이 서울에서 저녁 강의를 하고 곧바로 열차로 포항에 가서 잠깐 주무시고 조찬 강의를 하신다니 저절로 감탄사가 나왔다.

한달 전 이길여 가천대학교 총장을 찾아뵈었다. 지난해 말에 ‘길을 묻다’라는 자전적 책을 내셨는데 큰 화제가 됐다. 시골 소녀가 큰 뜻을 품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가고 미국 유학 후 귀국해 길병원을 열어 의술을 펼친 이야기부터 가천대를 명문대로 키우기까지 진솔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 총장의 인생철학은 ‘박애’다. 어려운 사람을 도와 따뜻한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꾸준히 박애를 실천하려면 먼저 스스로 역량을 키워야 한다. 이 총장은 남들보다 수십배 더 노력하며 역량과 성과를 쌓아온 분이다. 도전과 열정의 화신이다.

오랜만에 얼굴을 보자고 연락을 주셔서 총장실로 찾아뵀더니 특유의 밝고 시원시원한 모습 그대로였다. 이날 한시간 넘게 많은 이야기를 나눴는데 놀라운 것은 비단 열정만이 아니었다. 대화 내용의 70% 이상이 미래에 관한 것이었다. 인공지능(AI) 시대에 새로운 인재 교육의 방향, 새롭게 펼쳐지는 바이오산업과 우주산업, 대학의 미래상 등을 말씀하시고 끝없이 질문하신다. 올해 90세이시다.

나이가 80, 90, 100세가 되어도 청년처럼 사는 분이 늘어난다. 나는 이런 분을 ‘청어’라고 이름 붙였다. ‘청년처럼 사는 어르신’을 줄인 말이다. 넓고 푸른 바다를 마음껏 헤엄치는 등푸른생선 청어(靑魚)가 저절로 떠오른다. 청년처럼 사시는 어르신 ‘청어’를 보면 나도 모르게 존경심이 우러나오고 힘이 솟는다.

내 주위에는 어떤 분이 청어일까 꼽아봤다. 한국의 ‘탑건’이라는 영화 ‘빨간마후라’의 주인공 신영균 선생님, 국민 건강을 위해 세로토닌 문화를 이끄시는 이시형 박사님, 6·25전쟁 때 이미 100회 출격의 대기록을 세운 호국 영웅 김두만 총장님, 활기찬 목소리로 가요무대를 진행하시는 김동건 아나운서님, 봉사활동을 활발히 하시며 맑은 목소리로 노래하는 김상희 가수님, 베스트셀러 ‘식객’에 이어 요즘은 TV프로그램 ‘백반기행’으로 전국을 누비시는 허영만 화백님 등이 모두 청어로 부를 만한 분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청어 DNA가 있지 않을까? 이런 생각으로 자세히 살펴봤더니 몇가지가 나왔다.

첫째, 늘 미래에 대한 호기심이 강하다.

둘째, 공익적이고 이타심이 크다.

셋째, 긍정적이고 잘 웃는다.

나이 들었다고 과거 전성기 추억을 먹고살면 청어가 아니다. 자기 혼자 잘되겠다고 열심히 살아도 청어가 될 수 없다. 긍정적 열정이 식으면 더이상 청어가 아니다. 나이 들어 갑자기 청바지를 입는다고 청어가 되는 게 아니다. 청어가 되려면 젊은 시절부터 몸과 마음에 청어 DNA를 심고 가꿔야 한다. 이게 내가 찾아낸 ‘청어로 사는 방법’이다.

매력적인 시니어가 많은 사회가 좋은 사회다. 나이가 들어서도 건강한 삶을 유지하며 세상을 위해 활기차게 활동하는 분이 많으면 이 자체가 젊은이들에게는 희망의 메시지가 아니겠는가?

나도 청어로 살고 싶다. 끝없이 다가오는 미래라는 바다를 향해 힘차게 헤엄치고 싶다. 요즘 내 마음속에는 청어 떼가 뛰놀고 있다.

윤은기 한국협업진흥협회장